LAUSR.org creates dashboard-style pages of related content for over 1.5 million academic articles. Sign Up to like articles & get recommendations!

Prospective nationwide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surveillance system in South Korea

Photo from wikipedia

1960년대 황색포도알균의 원내 유행을 조사하면서 감염 률을 조사하는 것이 의료진의 행동변화를 유도하여 궁극적 으로 감염률을 낮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1970년대 감염 률을 조사하도록 전국가적으로 권장되면서 감염 감시가 시 작되었다[1]. 이후 조직적인… Click to show full abstract

1960년대 황색포도알균의 원내 유행을 조사하면서 감염 률을 조사하는 것이 의료진의 행동변화를 유도하여 궁극적 으로 감염률을 낮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1970년대 감염 률을 조사하도록 전국가적으로 권장되면서 감염 감시가 시 작되었다[1]. 이후 조직적인 SENIC project (Study on the Efficacy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를 통해 감염 감 시가 감염률을 줄인다는 과학적 근거가 마련되었으며 감염 감소를 위한 핵심요소로 감염률 조사, 감염관리 프로그램, 감염관리 의사, 감염관리 간호사가 제시되었다[2]. 이러한 의료 관련 감염과 감염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 면서 국내에서도 1990년대 초반 각 병원에 감염관리실이 설 치되기 시작하였으며 1995년 11월 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가 설립되고 이들이 이전의 산발적인 감염률 조사, 원내 유행 감시, 전파방지를 위한 활동들을 전국적 단위로 묶고자 하였 으며 이를 위해 1996년 보건복지부 연구과제로 우리나라 종 합병원의 감염발생률과 감염관리 실태를 조사하게 되었다. 이것이 국내 의료 관련 감염 감시의 시작이다[3].

Keywords: infection surveillance; infection; nationwide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prospective nationwide; healthcare associated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Year Published: 2018

Link to full text (if available)


Share on Social Media:                               Sign Up to like & get
recommendations!

Related content

More Information              News              Social Media              Video              Recommended



                Click one of the above tabs to view related content.